Saturday, April 30, 2011


제목: 링크: 21세기를 지배하는 네트워크 과학 (Linked: The New Science of Networks)
지은이: A.L. 바라바시 (Albert-Laszlo Barabasi, 헝가리)
옮긴이: 강병남, 김기훈
출판사: 동아시아
발행일:2002년10월24일 (2002년 5월 14일 영문판 발행)

앞서 읽었던 동양 고전이 '관계'에 대한 철학적이고 관념적인 접근이었다면, 이번에 읽은 책은 바로 그 '관계'에 대한 수학적, 과학적 접근이다.

이 책의 대략적인 내용은 이렇다: 현실 세계의 많은 현상들은 network로 표현이 가능한데, 그 network은 어떤 성질을 가지고 있을까?

어떤 전염병이 퍼져나갈 때, 각각의 환자를 node로 두고 그 전염 관계를 link로 표현한 모습, 영화배우들 각각을 node로 두고, 같은 영화에 함께 출연한 관계를 link로 표현한 모습, 혈액 속의 특정 성분들을 node로 두고, 생화학적 상호작용을 link로 표현한 모습. 그리고 웹사이트들을 node로 두고 연결 link를 link로 표현한.....

처음에는 이 network의 성질을 무작위 연결로 추정했다. 여러 개의 node 중 임의의 2 개의 node에 link가 형성되고, 다시 또 임의의 2 node를 link로 연결하고...... 그런데 실제의 network에는 이런 방식으로는 도저히 나타날 수 없을 것 같은 현상이 너무나 많다.

여러 가지 실험과 관찰을 통해서 알게 된 사실을 바탕으로 현재까지 추정되는 연결 방식은 선호도를 가진 성장형 연결인 것 같다. Network은 최초 하나의 node를 시작으로, 거기에 차례로 node들이 추가되며, 기존 node중 가장 적합한 node에 link를 갖는다는 것 - 이러한 추정으로 위에 열거한 연결들과, 그 밖의 수많은 다른 연결들이 가지는 모습과 특성이 상당 부분 설명된다.

책의 2/3 정도 까지는 무척 재미있게 읽었는데, 그 이후에는 앞서 이야기 한 내용이 반복되는 듯한 느낌이 강하다. 또한, 책에서 사용되는 각종 학술 용어들에 대한 설명이 너무 부실하다. 대표적으로 'cluster' 라는 용어가 있는데, 대충 '몇몇 연결된 node들' 이라고 밖에는 이해할 수 없었다. 하지만 그렇게 정의하고 나면 뭔가 맞지 않는 듯한 내용이 있다. 도대체 어떻게 연결된 node 들을 cluster라고 칭했는지 궁금했지만, 구체적인 내용은 없다. 또 한가지, '척도 없는 network' 이라는 용어가 있다. 'scale free network' 이란다. 여기서 말하는 scale이 비늘이나 눈금자를 말하는 것은 아닐 것 같은데, 그렇다고 해서 '척도' 라는 표현이 무슨 의미를 갖는 것 같지도 않다. 이 부분에 대한 설명이 있었으면 했는데, 전혀 없다.

학술적인 책이다 보니, 참고 문헌은 징그러울 정도로 많이 나열되어 있고, 다른 학자들의 이름도 상당 수 등장한다. '교양'으로 이 책을 읽을 대다수 독자들에게는 그 수많은 논문 목록보다는 간단한 용어 설명이 훨씬 낫지 않았을까 싶다.

그래도 나에게는 철학적인 설명보다 이런 류의 설명이 더 와 닿는 것 같다.

사회의 구조에 대해 종교적, 철학적 뜬구름 잡는 식의 설명이 불만스러웠던 사람들이라면 상당히 '객관적'인 설명을 하는 이 책이 큰 기쁨이 될 것 같다.

=^.^=

Labels: , , , ,

0 Comments:

Post a Comment

<< Home